한때 잘나가던 명품 온라인 플랫폼 ‘발란’이 결국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수백 곳의 파트너사 정산금 미지급 논란에 휩싸인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내려진 결정인데요. 과연 발란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투자 유치 난항과 갑작스러운 유동성 위기
발란은 올해 1분기 내에 새로운 투자 유치를 마무리할 계획이었습니다. 일부 투자는 진행되었지만, 계획했던 추가 자금 확보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심각한 단기 유동성 위기에 봉착했습니다. 이는 결국 파트너사들에 대한 정산금 지급 지연이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이어졌습니다.
130억 원대 정산 지연, 파트너사 ‘날벼락’
가장 큰 논란이 된 것은 파트너사 정산금 지급 보류입니다. 지난 3월 24일 지급 예정이었던 정산금이 지급되지 않으면서 파트너사들의 불만이 터져 나왔습니다. 현재까지 미지급된 정산금 규모는 약 13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수백 곳의 파트너사들이 직접적인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여파로 발란 앱 내 결제 시스템마저 중단되어 사실상 플랫폼 운영이 멈춘 상태이며, 직원들은 전원 재택근무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업회생 신청과 M&A 동시 추진
결국 발란은 지난 3월 3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습니다. 단순히 회생 절차만 밟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인수합병(M&A)을 추진하여 외부 자금 수혈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발란 측은 회생 인가 전에 인수자를 찾아 현금 흐름을 빠르게 개선하고, 무엇보다 파트너사들의 상거래 채권을 신속하게 변제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발란 사태, 이커머스 업계 파장은?
발란의 이번 사태는 단순히 한 기업의 위기를 넘어 국내 이커머스 업계 전반, 특히 급성장했던 명품 플랫폼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 단기 유동성 관리의 중요성 부각: 스타트업 및 플랫폼 기업들의 자금 조달 및 유동성 관리 능력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습니다.
- 파트너사와의 신뢰 관계: 플랫폼과 입점 판매자(파트너사) 간의 정산 시스템 및 신뢰 구축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습니다.
- 명품 리셀 시장 영향: 명품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 및 판매자의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져, 관련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결론: M&A 성공 여부가 관건
결국 발란의 운명은 추진 중인 M&A의 성공 여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성공적인 인수자를 찾아 자금난을 해소하고 파트너사 피해를 최소화하며 정상화의 길을 걸을 수 있을지, 아니면 이대로 시장에서 사라지게 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이번 사태가 국내 명품 이커머스 시장에 어떤 교훈을 남기게 될지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